함수종속 어떤 릴레이션 R에서 X와 Y를 의 애트리뷰트 집합의 부분집합이라 하자. X의 값 각각에 대해 시간에 관계 없이 Y의 값이 오직 하나만 연관되어 있을 때 Y는 X에 함수종속이라 하고 X →Y로 표기한다. 이 때, X를 결정자, Y를 종속자라고 한다. 제 1 정규형(1NF) 어떤 릴레이션 R에 속한 모든 도메인이 원자값만으로 되어 있다면 제 1 정규형이라고 한다. 제 2 […]
[월:] 2010년 06월
2계층과 4계층의 오류제어, 흐름제어
오류제어 및 흐름제어 기능은 계층 2와 4에도 있다. 이들의 차잇점을 쓰시오. 2계층과 4계층의 차이점.2계층은 서로 연결된 두 노드간의 제어이며, 4계층은 단대단 제어이다.따라서 4계층의 오류제어와 흐름제어는 단말과 네트워크를 포함한 제어 기술이다.2계층의 오류 제어는 오류제어를 담당한다. 4계층의 오류제어는 송신측과 수신측 단대단 오류 제어이다.2계층의 흐름제어는 역시 인접노드간의 흐름 제어이고, 4계층의 흐름제어는 단대단 흐름제어이다.
TCP 폭주(혼잡)제어
TCP의 폭주제어에서 예약방식을 못 쓰고 피드백 기반 방식을 사용하여야 하는 이유를 설명하시오. 예약 방식의 경우 데이터 전송 중 경로상의 라우터에서 폭주 혹은 에러가 발생했을 경우 송신자는 계속 데이터를 보내게 되어 혼잡이 가중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피드백 방식을 사용한다.송신자는 약간의 데이터만 전송하여 도착 여부를 확인 후 점점 전송량을 늘려간다. 이처럼 네트워크의 상태에 따라 송신측에서 전송량을 조절하여야 한다.
고속 네트워크에서의 메모리 병목 현상
메모리가 미래 통신에 있어서 병목 지점이 되는 이유를 설명하고 해결 방안을 제시하시오. 1) 메모리는 코드와 데이터를 함께 저장한다. 표현 계층이 개입한다면 메모리 연산이 증가하게 되어 병목 현상이 발생한다. -> 표현계층을 적게 사용한다.2) 각 계층 이동시 메모리 연산 증가. OSI-7-layer에서 각 계층 이동시 메모리 복사가 빈번하게 일어나게 된다. -> shared memory, page remapping, 계층 통합 처리3) […]
고속 네트워크 프로토콜의 목적과 수행과정
고속 네트워크 프로토콜중leaky bucket, flowspec, RSVP, policing, admission control 등의 유기적인 관계를 정확히 쓰시오(수행 과정, 목적 등) 과 모임을 위하여 술집을 예약하는 과정을 빗대어서 설명.Application은 Network에게 질적인 정보나 양적인 정보를 준다. 질적인 정보는 쉽게 명세가 가능하지만 양적인 정보는 쉽게 명세가 불가능하다. Application이 Network에게 주는 이러한 정보를 flowspec이라고 한다. flowspec은 흐름의 트래픽 특성(양적인 정보)을 묘사하는 부분과 […]